메뉴 건너뛰기

SAP 한국 커뮤니티

FM개요(펌)

하오 2009.01.14 23:15 조회 수 : 4713

FM(Fund Management)는 본래 말 그대로 Fund를 관리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FM자체에 Budget을 통제하는 기능이 있어 이를 비용예산 통제목적으로 전용하여 사용
하는 회사들이 있죠.
단점은 예산을 월별로 수립은 가능하나, 월별 통제하는 기능이 없어, 월별로 통제하기 위해선
별도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년간 통제방식임.)


FM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Master data
   1) Fund Center : 예산수립 및 통제를 위한 조직단위(예산부서로 사용 가능)
   2) Commitment Item : 예산수립 및 통제를 위한 계정단위(약정항목)
                        =>통제할 항목과 통제하지 않을 항목으로 나누어 생성시 master 구성.


   3) Fund : 기금관리의 단위(일반적으로 예산통제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Fund Center와 Commitment Item의 경우 Hierarchy를 가지며 상위 조직을 Superior F/C,
  Summarization Item이라고 부릅니다. 최소단위의 F/C를 생성하기위해서는 반드시 상위 조직인
  Superior F/C와 Summarization Item을 생성하여 연결하여야 합니다.


2. Assignment
  1) CO와 연결 : FM에 당초예산을 입력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CO의 직접비와 간접비계획을 FM의 당초예산으로 끌어 오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FM에서 직접 당초예산을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CO와의 연결은 첫번째 방법, 즉 CO의 비용계획을 FM으로 자동으로 끌어오기
                 위해 CO의 Master와 FM의 Master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1. Cost Center - Fund Center의 연결 : 예산 조직 연결 => N : 1의 관계


                 2. Primary Cost element - Commitment item의 연결 : 계정연결 => N : 1의 관계


                 CO에서 수립한 비용계획을 Assign Rule에 따라 자동 Transfer하는 기능이 있음.


                 CO와 FM을 Assign은 N : 1의 관계이므로 Mapping rule에 따라 다양한
                 예산 정책을 반영할 수 있음.


  2) G/L과 연결 : G/L Account와 Commitment Item의 연결
                 
                  P.Cost element-G/L account는 1:1의 관계를 같습니다.
                  (G/L Account 생성시 Cost element를 자동으로 생성 시킬 것인가는 IMG Setting
                  사항임.)
                  위의 연결을 통해 CO에서 비용실적을 확인할 수 있고, FM과 G/L의 연결을 통해
                  비용전표 입력시 입력되는 Cost center와 G/L Account를 통해 예산을 통제 합니다.
                  즉, G/L Account - P. Cost element - Commitment item이 서로 연결되어
                  비용전표 입력, 예산실적조회, 예산통제를 하는 것입니다.
                


3. Budget


  1) Original Budget : 당초예산, CO의 비용계획을 Transfer하거나, 직접입력 가능.
                       비용통제 목적으로는 Payments에서 입력.


  2) Transfer : 예산의 Fund center, Commitment item, 기간 이월
                => 조기 이월, 전용, 이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3) Supplement : 증액


  4) Return : 감액


  5) Release : 배부예산 => Original +-Transfer + Supplement - Return 한도 내에서 배부 가능.
               Release한 금액만큼 예산 사용 가능.(통제항목의 경우)


4. 계정별 통제 설정
   IMG Budget profile 설정 및 Available control을 통해 계정별 통제수준 정의.


 


이상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 Data Services 사용하시는 분 있으신가요? file 도움이 2019.04.23 428
138 LE Module le모듈 교재나 강좌같은거 없나요? ABAP MM MODE 2018.07.24 1005
137 Summer Time 설정 관련 질문 입니다. 십년만에 2018.04.11 852
136 TIBCO EAI - SAP 인바운드 후 반응이 없습니다. file 멍근2 2017.04.25 1365
135 cogi Error 관련 문의 [1] 러굴이 2017.01.18 1653
134 안녕하세요.. QM(PM)관련 BAPI_EQUI_GETDETAIL 질문입니다... 텅키 2016.12.21 1285
133 unicode 프로젝트 일정 관련 [2] 길가메시2 2016.09.16 1743
132 HANA DB 한글깨짐 현상입니다. [3] hoya0704 2015.12.14 3263
131 sap erp 모듈담당하는 부서에서 하는 일이 어떤것 인가요? [1] snsao 2014.11.20 3542
130 SAP FSCM Dispute Management [1] file BluewhiteMountain 2014.11.02 2457
129 SAP FSCM Credit Management [2] file BluewhiteMountain 2014.11.02 2221
128 SAP Validation [1] 모포 2014.08.26 2543
127 SAP FSCM Biller Direct [4] file BluewhiteMountain 2014.08.25 2293
126 FM모듈 경험 있으신분 계신가요?? [14] AquaPower 2014.08.08 7676
125 C_SOA200_70 dump 가지고 계신거 있으신 분 있나요~ 고새 2014.06.02 2009
124 EAI 솔루션 문의 [2] 하늘높이 2014.03.11 4160
123 webmethods eai 자료 조재경 2012.06.08 5838
122 New debugger 관련. younnjjang 2012.04.30 4547
121 [re] erp_패키지_선정절차_및_기준 바보사랑 2011.03.04 3957
120 [re] 공급망관리 (SCM: Supply Chain Management) 바보사랑 2011.03.04 3794